
안녕하세요! 리뷰 어부입니다 ^o^/
오늘은 맞춤법에 관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에 대해 많이 헷갈려하고 틀리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예민한 분위기가 많은데요
저 또한 국어 전공자가 아니기 때문에 가끔 틀릴 수도 있죠

하지만 알고 틀리는 것과 모르고 틀리는 것은 다르다고 생각해요!
예전부터 연인 관계에서도 친구 관계에서도 맞춤법을 많이 틀려 헤어지거나
싸운 경우가 종종 있곤 하죠
그러니 저희도 이제부터 기억하고 상황에 맞춰 말을 잘하도록 합시다!
가시죠!
어떤 게 맞을까요??
[되, 돼]
되와 돼는 쉽게 구분하기 위해
되는 "하", 돼는 "해" 를 대입시켜보는 겁니다
예) 1. 내가 이제부터 되게 해 볼게 → 내가 이제부터 (하)게 해 볼게
2. 내가 이제부터 돼게 해 볼게 → 내가 이제부터 (해)게 해 볼게
3. 네가 잘 되길 빌게 → 네가 잘 (하)길 빌게
4. 네가 잘 돼길 빌게 → 네가 잘 (해)길 빌게
어때요? 어떤 게 더 자연스럽나요? 1번과 3번이 좀 더 자연스럽게 읽히죠?
예를 또 들어볼게요
예) 1. 이제부터 네가 하면 돼 → 이제부터 네가 하면 (해)
2. 이제부터 네가 하면 되 → 이제부터 네가 하면 (하)
3. 앗.. 그거 그렇게 하면 안 되는데.. → 앗.. 그거 그렇게 하면 안 (하)는데..
4. 앗.. 그거 그렇게 하면 안 돼는데.. → 앗.. 그거 그렇게 하면 안 (해)는데..
이건 어때요? 끝에 돼 들어간 문장이 좀 더 자연스럽죠? ㅎㅎ
3, 4번 '안 되는데' 라는 문장으로 한꺼번에 읽어보면서 구분하면 돼(해)요!
이번엔 마지막으로 받침 들어간 걸로 예를 들어볼게요!
예) 1. 오~ 이번엔 잘 됐다 → 오~ 이번엔 잘 (했)다
2. 오~ 이번엔 잘 됬다 → 오~ 이번엔 잘 (핬)다
3. 내가 너의 별이 될게 → 내가 너의 별이 (할)게
4. 내가 너의 별이 됄게 → 내가 너의 별이 (핼)게
받침 들어간 되와 돼의 구분은 조금 더 어려울 수 있지만
똑같이 하와 해를 받침 넣은 그대로 대입시켜서 읽어보면 된(한)답니다!
[가리키다, 가르치다]
가리키다와 가르치다는
다른 말이죠
가리키다는 가르키다라는 말이 아닌 가리키다라는 말이 맞답니다
가리키다는
먼 곳의 방향을 손 끝으로 표시하는 것
다른 사람의 시선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것이죠
가르치다는
내가 갖고 있는 지식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는 것이죠
예) 1. 오늘 학교(유치원)에서 뭘 가르켜 줬니 → 오늘 학교(유치원)에서 뭘 가르쳐 줬니
2. 날 가르키려 들지 마! → 날 가르치려 들지 마!
3. 어디? 네가 가르친 곳이 안 보여! → 어디? 네가 가리킨 곳이 안 보여!
4. 그 선생님이 잘 가르켜 주시더라구요 → 그 선생님이 잘 가르쳐 주시더라구요
어떠신가요? 가리키다와 가르치다를 구분하실 수 있으신가요?
[~이, ~히]
"~이" 와 "~히" 의 구분은 좀 헷갈릴 수 있어요
이게 어렵지만 어떤 것들은 그대로만 쓰이니 외워두시면 좋을 거에요!
예) 1. 와 그것 참 다행히다! → 와 그것 참 다행이다!
2. 그게 다행이도 잘 넘어갔어 → 그게 참 다행히도 잘 넘어갔어
3. 내가 분명이 여기에다 놨었는데.. → 내가 분명히 여기에다 놨었는데..
4. 설거지 해서 그릇을 깨끗히 해놔야겠다 → 설거지 해서 그릇을 깨끗이 해놔야겠다
5. 그거 잘 붙혔어! → 그거 잘 붙였어!
1번은 다행이다! 는 다행+이다 가 되면서 다행이다가 된 것이에요!
2번은 다행히 는 단어(다행) + ~하다 를 붙여봤을때 자연스러우면 히를 붙인답니다!
3번도 마찬가지로 분명 + ~하다 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분명히!
4번은 단어 끝에 "ㅅ" 받침이 들어가면 무조건 ~이 가 나온답니다! 깨끗 에서 끗 자에 "ㅅ" 받침!
5번은 붙히다 라는 언어 자체가 없기 때문에 붙이다 에서 파생해 붙였어! 가 맞습니다 ㅎㅎ
자~ 오늘은 어떠셨나요? ㅎㅎ
오늘은 맞춤법 [되, 돼 / 가르키다, 가르치다 / ~이, ~히] 에 관한 글을 작성해보았는데요
조금이라도 알고 의식적으로 고쳐나가려고 하다 보면
고쳐질 거구요 관계적으로도 괜찮을 거예요! :D
그럼 오늘도 행복하고 즐거운 하루가 되시길 바라면서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안뇽~~~~
뿅!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리다, 다르다 / ~데, ~대 / ~던, ~든 맞춤법 뭐가 맞을까? (0) | 2021.07.31 |
---|
댓글